전체 글835 탁재훈 프로필 (ft. 부인, 자녀, 아버지 재산, 레미콘? 짠당포) 탁재훈 프로필 (본명, 배성우) 출생 1968년 7월 24일 (55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녹번동 본관 분성 배씨 신체 179cm, 75kg, 혈액형 B MBTI = ISFP 학력 충암고등학교(졸업) 국민대학교(연극영화학 / 중퇴, 방송활동으로 인하여) 병역 육군 제11기동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병장 만기전역 데뷔 199년 (정규1집 '내가 선택한 길' ) ( 탁재훈 신정환 '컨츄리 꼬꼬' 활동) 가족 아버지(배조웅, 81세) 어머니 여동생 (배성은) [이복여동생이 한명 더있음] 배우자 이효림(2015년 이혼) 자녀 장녀(배소율,2002년) 장남(배유단, 2004년) 탁재훈 아버지 탁재훈(배성우) 아버지(배조웅, 80세)는 현재 우리나라 1,051개 레미콘회사 연합협회의 총괄 회장이다. 배 회장은 IMF.. 스타 이슈 2022. 10. 26. 친일파 우범선 암살 (후손 우장춘) 자객 고영근이 복수하다, 제2부 우범선은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이 있은후 일본으로 망명한다.(1896년 1월)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가담하였던 자들은 조선을 떠나 일본으로와 대부분 궁핍하게 살았으나 우범선의 예외였다. 그는 일본 외무성으로 부터 감시를 받으며(요시찰 한국인거동,일본역사서) 매달 20엔의 지원금을 받았다. 그돈으로 자유롭게 교토, 도쿄, 고베, 구레 등을 활동하며 일본인 아내까지 얻어 1남 1녀를 두고 아내가 또 임신중이었다. 우범선은 항상 자객에게 암살 당할까봐 주위를 경계하며 2층에 기거하였다. (당시 20엔은,1900년초 당시 소학교 선생의 월급의 2배, 쌀 10kg에 1엔 19전 이었다, 값의 풍속사 中) 우범선이 암살당한 후에도 일본에서는 우범선의 장남의 학비를 되주었고, 조선총독부에서는 차남 학비를 비밀리에..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24. 매국노 우범선 '암호명 여우사냥'(ft 명성황후, 민비, 흥선대원군)제1부 조선시대 우범선이라는 무인이 있었다. 그는 유명한 우장춘 박사의 아버지이기도 한데, 친일파로 유명하기도 한 인물이다. 이 우범선은 '암호명 여우사냥'이라는 엄청난 일을 벌였는데, 오늘은 이 우범선과 그 '여우사냥' 사건에 대해 알아보자. 친일파 우범선의 여우사냥 우범선 (1857년 5월 24일 ~ 1903년 11월 24일) 우범선은 조선 충청도 단양군 출신으로 신분은 중인이었다. 무인의 집안에서 출생하여, 우범선 본인도 1876년 무과에 급제하여 무인이 되었다. 당시 조선 정부는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별기군을 창설하였는데, 우범선은 이 별기군으로 근무하는 중 일본으로 잠깐 밀항 하였다가 돌아온 일이 있다.(탈영?) 그로 인해 평안북도 순천에서 귀양살이를 하다가, 평양감사 '민병석'의 도움으로 '장위영..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23. 고종황제의 죽음 (ft.식혜 독살설, 아관파천, 헤이그 특사, 자동차와 커피) 고종의 즉위식고종은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직계8대 손으로 효종 후손들로 이어진 왕실 직계와는 방계였다.(먼 친척) 고종은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하여 왕실의 일원이 되었다. (고종의 이름은 '재황' 이다)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국왕으로 1864년 1월 21일 즉위하여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받다가 1873년 친정을 시작했다. ( 재위기간, 1864년 1월 21일 ~1897년 10월 12일) 명성황후의 죽음1894년 청,일 전쟁이 일어나 일본이 승리를 하게되면서, 조선은 일본을 견제하고 러시아 쪽으로 기울면서 정부 요직에 친,러시아 쪽 세력이 들어오면서 친일파 박영효가 실각(실직)을 하게된다. 박영효는 일본으로 건너가 "나를 실직 시킨 사람이 명성황후고 친일 세력들을 제거하려 한..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22. 치매 - 초기 전조 증상 / 치매 종류 / 예방 / 남성과 여성의 차이 / 갱년기 치매 (dementia) 뇌의 인지기능 장애로 일상 생활을 스스로 유지하지 못하며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이다. 그로 인해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현재 자신이 놓여있는 상황)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 기능이 저하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 하는 '후천적 다발성' 장애 이며,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을 못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치매종류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 치매 루이체 치매 파킨슨 치매 알콜성 치매 뇌수종에 의한 치매 우울증으로 인한 치매 가역성 치매 등이 있다. 치매, 남성과 여성의 차이 세계적인 통계학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치매 발병률이 2배이상 높다고 한다. 여성이 남성보다 치매 발병률이 높은 이유는 여성호르몬의 감소때문이다.(즉 폐경) 여성이 폐경기에 접어들면 에스토르겐 수치.. 건강 이야기 2022. 10. 21. 고종 황제의 자녀들 삶은? (순종, 의친왕, 영친왕, 덕혜옹주) 고종황제(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고종황제는 조선 제 26대 왕으로 1864년 1월 21일 11세의 나이로 조선 한성부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 식이 거행되었다. 고종은 부인이 13명이며, 자녀가 9남 4녀 로서, 아홉명이 죽고 4명이 생존하였다.(3남 1녀) 순종(이척,1875년 3월 25일 ~ 1946년 1월 25일)명성황후의 자식으로 어려서 부터 병약하였다. 순종이 장성하여 아버지 고종황제와 함께 커피를 마시던중 고종황제는 커피에서 이상한 향을 맡고 커피를 마시지 않았는데, 순종은 자신의 잔에든 커피를 다마시고 피를 토하고 쓰러진다. 순종은 몇날 몇일을 혈변을 보고 이가 다 빠져 버리며, 그로인해 더욱더 병약해진다.[순종의 이는 모두 틀이 였다] 이것이 김홍륙의 독차사건이다...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21. 비파(열매)- 효능, 성분, 비타민A 의 모체, 비파 (열매) 장미과의 아열대 식물이며, 비파의 익은 열매는 신맛이 없다. 잎은 구토, 주독, 학질, 각기, 갈증, 해수의 약재로 이용되며 당질은 약10% 에 불과하다. 비파나무 의 높이는 5~10m 가량이며 어린 줄기는 갈색의 털이 있고 잎은 넓고 잎사귀에 톱니가 있다. 늦가을에 힌꽃이 가지끝에 여러개 피고, 열매는 이듬해 첫여름에 서양배 또는 비파악기 모양으로 노랗게 익는다. 비파의 익은 열매를 생으로도 많이 섭위하고 통조림으로도 가공되며, 비파의 익은 열매로 술을 담궈 먹으면 낭만적인 술이된다. 비파(열매) 성분 익은 비파열매는 60~70%가 과육이며 20~25%가 과피(껍질)와 씨앗이다. 당질은 과당과 포도당이 많고 유기산 함량은 매우 적어서 사과산 구연산 0.1~0.8% 가량 들어있어 신맛이 거.. 건강 이야기 2022. 10. 20. 무화과 - 꽃이 없는 꽃 / 단백질분해 / 회충 신경통의 약제 무화과 무화과는 꽃이 없어서 무화과라 한다. 화낭속에 꽃이 들어있어 보이질 않을뿐 사실은 우리가 먹는 부분이 꽃이다.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는 3m가량, 잎은 팔손으로 비슷하나 3~5 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은 봄과 여름 담홍색으로 피며 열매는 은화과(慇花果) 로서 가을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수분 87.7%] [탄수화물 11.1g] [칼슘26mg] [인 16mg] [비타민c 2mg] 이루어 져 있다. 무화과 효능 무화과의 잎은 단백질과 고무질이 많아 그 유즙으로 회충 구제약 또는 신경통 약재로 많이 이용되었다. 당분은 대부분 과당과 포도당이며 유기산이 0.1~0.2% 가량 들어있으며, 단백질 분해 효소인 휘신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고기를 연하게 하는 연육제로 활용한다. 무화과 용도 무화과는 생식도 가.. 건강 이야기 2022. 10. 20. 칭기즈칸 무덤의 행방? (징기스칸의 태몽, 본명, 영토, 명언) 보르지긴 테무진 (칭기스칸,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몽골부족 보르지긴 씨족 족장인 이수게이는 메르키트 부족장의 부인인 후엘룬을 약탈해와 부인으로 삼는다. 그것은 몽골초원에 흔한 약탈 풍습이라고 한다. 테무진의 탄생(태몽)과 어린시절 테무진은 1162년 11월 12일 보르지긴 씨족 족장인 아버지 이수게이와 어머니 후엘룬의 사이에서 태어난다. 임신을한 후엘룬은 꿈에 게르안 천장으로 빛이 세어들어와 자신의 배에 쏟아졌으며, "이제 네가 전 세계의 지배자가 될 아들을 하나 낳게 될것이다" 라는 소리가 후엘룬에 귀에 들리는 태몽을꾸게 된다. 이후 아들 테무진을 낳았으며 테무진이 태어날때 오른손에 '핏덩이'를 쥐고 태어났다고 한다. 테무진은 9살이 된든해에 아버지 이수게이와 미래의 테무진의 아..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19. 을사조약과 을사오적(을사오적 다섯명 누구? 환수재산 얼마?) 을사조약 을사조약은, 을사년 (1905년 11월 18일 새벽) 대한제국 말기, 일제가 대한제국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이토 히로부미가 군대를 동원해 궁궐을 포위하고 공포분위기를 조성한다. 대한제국 관료들은 처음에는 반대하지만 이완용의 선두로 박재순 이근택 이지용 권중현 5명이 앞장서서 찬성하며 '을사조약'에 서명한다. 왼쪽부터↑ [내부대신 이지용, 행정안전부장관] [군부대신 이근택, 국방부장관] [학부대신 이완용, 교육부장관] [외부대신 박제순,외교부장관] [농상공부대신 권중현,농림축산+ 산업통상부장관] 이 '을사늑약'에 서명한 5인이 '을사오적' 이라 한다. 을사오적 1) 이완용(1875년 7월 17일 ~ 1926년 2월 12일) 이완용은 몰락한 양반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이석준 어머니(영산신씨) 사이의..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18. 나혜석 화가 시 작가 어록, 이혼고백서 경희 이상적 부인 백결생 학지광 삼천리 최린 나혜석조선의 대표적 신 여성 이면서 조선 최초의 여류 서양화가. " 나는 말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 화가 나혜석 - - 1919년 3월 나혜석의 첫소설 - 첩이 있는것도 배우지 못한 까닭이고,그것으로 속을 썩이는 당신도 알지못한 죄이예요그러니깐 예편네 두고 첩을 얻지 못하게 하는것도가르쳐야 합니다. 계집애도 사람이라 해요사내와 같이 돈도 벌수있고사내와 같이 벼슬도 할수 있어요사내가 하는것은 무엇이든 하는 세상이예요. 여자라는것 보다 먼저 사람이다또 조선 사회의 여자보다먼저 우주안 전 인류의 여성이다오냐, 사람이다. (나혜석 소설 '경희' 의 일부분) 위↑ 나혜석 도쿄 여자미술대학 2학년 재학시절, 조선 유학생 들의 잡지 '학지광' 에 글을 발표한다. 이상적 부인 〓 양처현모라 이..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14. 나혜석(화가 시인 작가)일생 업적 사망 무연고자 설명 대표시 아들 김건 나문희 나혜석 (羅蕙錫) (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 서양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이다. 출생 : 1896년 4월 28일 조선 인천부 수원군 수원면 신풍리 ( 현재,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아호 : 정월 부모 : 아버지(나기정), 어머니 (최시의)형제, 자매 : 2남 3녀 본관 : 나주 나씨 학력삼일소학당 (졸업)진명여학교 (졸업)도쿄여자미술 전문학교 (서양화 / 졸업) 남편 : 김우영 (1930년 이혼)자녀 : 장녀(김나열), 장남(김선), 차남(김진), 삼남(김건) 나혜석 집안나혜석은 명문가 집안으로 아버지 나기정 어머니 최시의 사이에서 2남 3녀중에 넷째로 태어나 유복하게 자랐다. 아버지 나기정(1863 ~ 1915)은 구한말 .. 나누고 싶은 글 2022. 10. 11.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70 다음